한국ESP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제정: 2019. 1. 1. 

1차 개정: 2023. 9. 16.

2차 개정 : 2025. 1. 19.


제1장 총칙


제1조  본 위원회는 한국 ESP 학회 편집위원회라 칭한다.


제2조  본 위원회는 한국 ESP 학회 회칙에 의거, 학회 내에 둔다.


제2장 구성


제1조  편집위원회는 전공 영역, 전국성 및 국제성을 고려하여 20명 내외의 국내 편집인과 약 간 명의 해외 편집인으로 구성하고, 위원장과 이사 및 편집위원을 둔다.


제2조  편집위원장은 편집 담당 부회장이 겸임하고, 임기는 부회장의 임기와 같다.


제3조  편집 간사와 위원은 학술 연구 실적이 뛰어난 상임 이사나 회원 중에서 학회 회장이 추천하여 상임이사회의 인준을 얻어 임명하고, 임기는 학회 임원의 임기와 같다.


제4조  편집위원은 아래와 같은 기준에 따라 선정한다.

1. 전공영역 고려: 투고 논문을 세부 전공 및 ESP 분야별로 심사할 수 있도록 각 영역 전문가를 고루 선정한다.(예시: 관광, 경영, 간호, 해양, 군사 등).

2. 전국성 및 국제성 고려: 국내외의 영어 교육의 활성화와 원활한 정보 교류를 위해서 각 지역의 전문가를 고르게 선정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외국의 전문가도 포함한다.

3. 학교급 별 고려: 초등, 중등 및 대학 영어 교육의 전문가를 고루 선정한다.


제3장 기능


제1조  편집위원회는 학회지 ESP Review의 체제, 발간 횟수, 분량, 논문 심사 기준과 절차 및 투고 규정을 정한다.


제2조  편집위원장은 학회에 접수된 논문의 심사위원을 선정 의뢰하고, 편집위원회는 심사 결과를 참조하여 논문 게재 여부를 최종 의결한다.


제3조  논문 게재 심사 이외의 편집위원회가 의결한 모든 사항은 이사회의 인준을 거쳐 발효된다.

제4장 회의


제1조  편집회의는 학술지 발간 시기에 맞추어 정기적으로 소집한다.


제2조  편집회의는 출석 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5장 논문 심사 기준


제1조  내용의 적절성: 논문은 영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비판, 실험 분석, 새로운 제안 등의 내용이어야 한다. ESP 전반, 영어학, 언어학, 영문학 및 인접 학문에 관한 내용이 되, 영어 교육 및 창의, 융·복합 영역, 각 전문 영역과 영어 교육의 연계 내용이 함축되어 있어야 한다.


제2조  내용의 창의성: 논문은 국내외 타 학술지에 게재되지 않은 새롭고 참신한 내용이어야 한다.


제3조  형식의 적절성: 논문은 본 학술지 투고 규정에 적합한 형식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제4조  구성 및 전개 방식의 적절성: 논문은 영어 교육 학술 및 제반 다양한 교과 영역에서 통용되는 논리적인 논문 구성 및 내용 전개 방식에 적합해야 한다.


제5조  연구 방법론의 적절성: 논문은 연구 문제의 제기, 연구의 설계 및 결과 분석의 과정이 각각의 연구 방법에 적절해야 한다.


제6조  학문적 기여도: 논문의 내용은 ESP 전반, 융·복합 교육 및 영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선도하고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제6장 논문 심사 절차


제1조  접수: 발행 예정일 10주 전까지 논문을 접수하고, 편집위원장은 투고 논문 도착 즉시 “접수 확인서”를 작성하여 필자에게 보낸다. 다만, 논문의 투고 규정이나 작성요령을 지키지 않은 논문은 접수하지 않고 반송한다(발행 예정일은 다음과 같으며 상황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 4월 30일 / 8월 31일 / 12월 31일, 연 3회 발행).


제2조  심사위원 선정: 편집위원장은 접수된 논문을 전공별로 정리한 후, 심사 가능 영역을 미리 파악하여 심사위원을 선정한다. 심사위원은 편집위원을 중심으로 해당 분야에서 학술 활동이 뛰어난 회원 중에서 2인을 선정하되, 필요한 경우 편집위원 이외의 전문가도 심사위원으로 위촉할 수 있다.


제3조  심사 의뢰: 편집위원장은 접수된 논문들을 전공별로 정리한 후, 심사위원을 선정하여 소정의 “심사 의뢰서”를 작성하고, 투고 논문과 함께 심사위원에게 보낸다. 이때 각 투고 논문 당 2인 이상의 심사위원을 배정하며, 논문 투고자의 이름과 소속이 심사위원에게 알려지지 않도록 투고 논문에서 삭제하여 보낸다.


제4조  심사: 각 심사위원은 배당된 논문을 심사하고 ‘게재, 수정 후 게재, 수정 후 재심사, 게재불가’의 4등급으로 판정한다. 심사위원은 판정의 근거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여야 하며 특히 수정을 제의하는 경우에는 수정 부분을 확실히 명기하여 구체적으로 지시하여 야 한다.


제5조  심사 결과 보고서 제출: 심사위원은 투고 논문에 대한 총평, 판정 및 수정 요구 사항을 소정의 “심사 결과 보고서”에 맞게 작성하여 편집위원장에게 통보한다. 수정을 제의하는 경우에는 수정할 곳과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심사서를 편집위원장에게 보낸다. 논문 심사서에는 심사 위원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심사위원의 소속, 지위, 성명 대신에 본인만의 고유 번호를 사용한다.


제6조  편집위원 회의: 편집위원장은 편집회의를 소집하고 편집회의를 통하여 심사 내용을 검토한다. 심사위원의 판정이 상이할 경우에는 편집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게재가”로 최종 판정을 받은 논문은 접수 일자, 게재 확정 일자를 논문의 맨 끝에 명기한다.


제7조  심사 결과 통보: 편집위원장은 심사 결과 보고서를 투고자에게 송부한다. ‘수정 후 재심사’의 판정을 받은 논문은 수정 후 다음 호의 투고 논문으로 받아 다시 위와 같은 심사 절차를 거친다.


제8조  기타: 게재하기로 결정되었거나 게재된 뒤라도 다른 학술지에 게재된 적이 있는 논문이나 무단 도용이 밝혀진 경우에는 편집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게재를 취소하고 일정 기간 논문 투고를 제한한다.


제9조  발행 예정일: 본 학회 학술지의 발행 예정일은 다음과 같고 차후 편집위원회에서 다시 정할 수 있다.

1호: 4월 30일, 2호: 8월 31일, 3호: 12월 31일


제7장 논문 투고 규정


제1조 투고 자격: 본 학회 회원으로 회비를 각 회계연도 시작일부터 종료일까지 성실히 납부한 자(예: 2019년 1월 1일 부터 2019년 12월 31일 이내)로 한다.


제2조 논문 내용: ESP전반, 융복합 교육, 영어교육, 영어학에 관한 창의적 비판, 실험연구, 새로운 제안 등의 내용이어야 한다.


제3조 원고 제출

1. 논문 원고는 학회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MS 워드 파일을 사용하여 규정에 맞게 작성한 후, 온라인 투고 시스템 JAMS(https://espkorea.jams.or.kr/)를 통해 제출한다.

        투고된 논문은 회원 가입비와 연회비 및 심사료를 납부한 조건하에서 심사된다.

2. 원고 제출 마감일은 아래와 같이 명시한다. 1호: 1월 31일, 2호: 5월 31일, 3호: 9월 30일 단, 편집위원회의를 통해, 논문투고마감 연장 공지가 가능하다.

3. 원고 제출 시 논문 제출 양식서에 투고자의 소속, 주소, 전화번호(휴대전화 포함)와 전자메일 주소를 명기하여 함께 제출한다.

4. 논문이 공동저작으로 제1저자가 있는 경우 공동 저자와 구분하여 이름과 소속을 명시한다. 예시: * 제1저자 **공동저자


제4조 논문의 체제는 본 규정의 [한국 ESP 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논문 작성 요령 (국어 논문은 제8장, 영어 논문은 제 10장 참고)과 투고 양식 안내에 따라 작성한다.


제5조 게재 예정 증명서의 발급은 편집위원회에 의하여 ‘게재가’로 결정된 이후에만 가능하다.


제6조 게재가로 결정된 원고의 교정은 필자의 책임 하에 행한다.


제7조 동일 필자의 단독 연구 논문 게재는 1년에 1회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공동저작의 연구 논문은 연속된 호가 아닌 경우, 1년에 2회 게재 가능하다.


제8조 논문의 길이는 학회지 기준 20쪽 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20쪽이 넘는 논문은 초과 쪽수에 대해 쪽당 일정 비용(예: 1만원)의 인쇄료를 필자가 부담한다.


제9조 투고자는 논문 게재시 소정의 게재료를 납부해야 한다.


제10조 투고한 논문은 게재 여부와 상관없이 돌려주지 않으며, 본 학회 학술 지에 게재된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필자와 학회가 공동으로 갖는다. 따라서 동 논문 전체 혹은 부분을 재수록 할 경우에는 사전 필자와 학회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제8장 국문 논문 작성 요령


제1조 논문은 “MS-Word 2003 이상”으로 작성한다.


제2조 논문의 크기는 봉투 B5 용지에서 위 여백은 24mm, 아래 여백은 20mm, 왼쪽, 오른 쪽의 여백은 20mm, 머리글 12mm, 바닥글은 0mm로 한다. 제목, 본문, 참고문헌의 줄 간격은 고정값 14.5pt, 영문 초록 12.5pt, 각주는 고정값 10pt로 한다. 글자는 한글은 바탕체, 영문은 Times New Roman으로 하되, 제목 글자는 논문 체제의 예를 참조 한다. 장평은 100%, 자간은 좁게 0.1pt로 한다.


제3조 논문 서두에 관한 사항

1. 논문의 제목은 가급적 2행을 넘지 않는다.

2. 공동저자의 표기는 제1저자를 위에 쓰고 기타 저자는 밑에 자모순으로 쓴다.

3. 초록은 200단어 내외로 영어로 작성한다.

4. 연구비 수혜 사실이 있는 경우는 논문의 첫 쪽 하단에 명기한다.

5. 초록 하단에 주제어를 영어, 한국어로 명시한다. 예: [learning strategies/motivation, 학습 전략/동기]


제4조 번호 체계, 줄 간격 및 기타 사항

1. 상 하위 제목의 번호체계는 아래 예와 같이 한다. 예: I. 1. 1) (1) ①

2. 각 제목의 사이는 한 줄씩 띄운다. 세부 제목(즉, (1))과 미세 제목(즉, ①)에 이어지는 본문은 띄우지 않는다.

3. 본문은 한글, 영문 논문 모두 1자 들여 쓰기를 한다.

4. 논문 체제는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1) 논문 전체의 작성 체제


 2)  논문    부분의  글자  속성    문단  속성  체제

  


제5조  참고문헌, 표, 그림, 문헌 인용 등은 APA(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양식에 준 해서 작성한다.(9장의 중요 표기 양식 안내 참조)

1. 참고 문헌은 내어 쓰기(3)자로 작성한다. 저서인 경우는 반드시 출판지와 출판사를 표기한다. 초판이 아닌 경우는 개정판 수를 밝힌다.

2. 한글 논문의 경우, 표/그림의 번호와 제목은 표/그림 위쪽 중앙에 배치하고, 표/그 림의 번호만 진한 글자로 한다. 영문 논문의 경우에는 ‘TABLE 3’, ‘FIGURE 3’ 등은 모두 대문자, 나머지 제목은 표/그림 아래에 중요 단어를 대문자로 시작한다. 한글 은 표 3, 그림 5처럼 쓴다. 번호는 아라비아 숫자로 한다. 본문 속에서 언급할 때는 “as shown in Table/Figure 3” 혹은 “표/그림 5에서 보듯이”처럼 쓴다.


제6조  저자 성명의 영문 표기를 저자가 정한 철자법에 따르되, 특별한 요청이 없는 한, 영문 논문 제목 하단의 저자 명에는 ‘이름 성’ 방식(예: Gil-Dong Hong)으로, 영문 초록 및 목차에는 ‘성 이름’ 방식(Hong, Gil-Dong)으로 통일한다.


제7조  인용 문헌의 원전 명은 참고문헌에만 열거하고, 각주로 달지 않는다.


제8조  심사 통과 후, ‘게재가’의 판정을 받아 수정한 최종 논문에는 논문 마지막 쪽 하단의 왼쪽에 투고자의 이름, 소속, 직급, 주소(우편번호), 전화번호(직장 또는 휴대전화), e-mail 주소를 기재한다.


제9조  참고문헌 뒤에 ‘예시언어’, ‘적용가능 언어’, ‘적용가능 수준’을 글자크기 9, 왼쪽정렬, 진한체로 다음과 같이 영어로 예시한다.

예) 예시언어(Examples in): English

적용가능 언어(Applicable Languages): English

적용가능 수준(Applicable Levels): Elementary/Secondary/College/Higher 


제9장 중요 표기 양식

본 학회의 ESP Review는 기본적으로 많은 응용 언어학 분야의 저널들(TESOL Quarterly 포함)이 채택하는 APA Style을 따른다. 다음은 그 중에서 중요한 몇 가지를 예시한 것이다. 기타 자세한 것은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1).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 Washington, DC: Author 참조.

1. 본문 속에서의 인용이나 괄호 안의 문헌 표기 (한국어 논문도 이에 준함)

1) 인용 부호와 출처 표시: He stated, “The ‘placebo effect’ disappeared...when behaviors werestudied in this manner” (Smith, 1982, p. 276). 인용문은 “ ”안에 넣고, 그 안에서 다시 인용이나 강조를 할 때는 ‘ ’를 쓴다. 인용문의 문장이 끝나도 마침표는 괄호(참고 문헌의 정보)가 끝난 후에 찍는다. 괄호 안에는 보기처럼 저자, 연도, 쪽수를 쉼표로 분리하여 표시하고, p. 혹은 pp. (여러 쪽의 경우)뒤에 한 칸 띄어 쪽수를 쓴다.

2) 쪽수만 인용문 뒤에 표시: Smith (1982) found that “the ‘placebo effect’ disappeared when [his own and other’s] behaviors were studied in this manner” (p. 276).

3) 2명의 저자: 본문이 영문이면 “and”로, 한글이면 “과/와”로 연결하고, 괄호 속에서는 &를 사용한다. 

Gardner and Lambert (1976) found that their previous study (Gardner & Lambert,1972) 괄호 자체는 영문에서는 독립해서 띄어 쓰고, 한글에서는 이름(명사)과 조사 사이에 붙여 쓴다. Gardner and Lambert (1976) found that their previous study (Gardner & Lambert, 1972) could not... Gardner와 Lambert(1976)의 연구는 과거의 연구(Lambert & Gardner, 1972) 보다...

4) 3-5명의 저자: 처음 언급할 때는 모든 저자의 이름을 표기하고, 그 다음부터는 영어 논문에는 “et al.”로, 한국어 논문에는 “등”이나 “외 4인”이라는 식으로 표기한다. 

첫 번째 언급: William, Jones, Smith, Bradner, and Torrington (1983) found that... William, Jones, Smith, Bradner와( 및) Torrington (1983)은 학습자의... 두 번째 언급: William et al. (1983) studied the effect of... William 등(1983)은 담화 구조의 ... William 외 4인(1983)의 연구 결과는...

5) 6명 이상의 저자: 처음부터 영어 논문에는 “et al.”로, 한국어 논문에는 “등” 혹은 “외 5인”으로 표기하고, 논문 뒤의 참고 문헌 목록(References)에는 이름을 모두 표기한다.

(etal.는 라틴어 et alii(and others) 의 약어이므로 al. 에만 점을 사용하고, 이탤릭체를 쓰지 않는다.)

6) 여러 저작을 괄호 안에 소개: 여러 저자의 저작을 소개할 경우, 알파벳 순으로 배열하고, semicolon으로 분리한다. 동일 저자의 것은 연대순으로 배열하고, 쉼표로 분리한다.

Oxford (1986, 1989, 1994) reported that many studies (Gosden, 1992; Hanania & Akhtar, 1985; Hopkins, 1987, 1988a, 1989; Tarone et al., 1981) used strategy training...

7) 동성 이명(同姓 異名)의 저자들: 본문에서는 이름의 약자를 사용하여 혼동을 피한다. 비록 연도가 다르더라도 그렇게 한다. 한국 이름은 성만으로는 혼동이 많으므로 성명을 다 쓴다. 그러나 원 저자의 영문 이름 표기 방식에 따라 성 앞에 한 글자(Kildong Kim ⇒ K. Kim), 또는 두 글자의 약자 (Kil-Dong Kim ⇒ K.-D. Kim)를 쓸 수도 있다. 

H. D. Brown (1993) and J. D. Brown (1994) agreed that ... 

2. References (참고 문헌 목록) 표기 (한국어 논문도 이에 준함) References에는 논문에 언급된 것만을, 빠짐 없이 (all and only the works cited in the paper) 저자 성의 알파벳 순으로 싣는다. 한국어로 쓴 논문의 참고 문헌 목록에 한국어 문헌과 영어 문헌을 실을 경우, 한국어 문헌을 먼저 가나다 순으로 싣고, 영어 문헌을 저자 성의 알파벳 순으로 싣는다. 한국어 참고 문헌 표기 방법은 영어에 준한다. 단 논문을 영문으로 쓸 경우, References에 실을 한국어 저작은 필자와 논문/책 제목을 Yale 표기법의 로마자로 표기하고 [ ]안에 영어로 번역을 넣는다. (과거에 본 학회지에 실린 논문으로 Abstract에 영어 제목이 주어진 경우에는 그 제목을 사용할 수 있다.)

1) 저널의 논문 (Journal article)

Pavio, A. (1975). Perceptual comparisons through the mind’s eye. Memory & Cognition, 3, 635-647.

Davis, J. N., Lange, D. L., & Samuels, S. J. (1988). Effects of text structure instruction: An experimental study on foreign language readers. Journal of Reading Behavior, 20(2), 19-34. 

모든 저자의 성을 먼저 쓰고, 쉼표를 붙인 후, 이름을 약자로 쓴다. 한 저자 이름의 약자에 마침표와 쉼표를 찍은 후에 다음 저자의 성을 쓴다. 마지막 저자의 성 앞에는 &를 붙인다. 출판 연도는 괄호에 넣는다. 논문은 주제목과 부제의 첫 글자와 고유명사만 대문자로 하고 나머지는 소문자로 하며, 보통체로 한다. 저널 이름은 주요 단어의 첫 자를 모두 대문자로 하고 이탤릭체로 한다. volume 번호도 이탤릭체로 하나, issue 번호는 괄호 속에 보통체로 한다(issue 마다 쪽수가 새로 1쪽부터 시작 할 경우에만 issue 번호를 쓴다). 마지막으로 쪽수를 명기하되, pp.를 붙이지 않는다. 저자, 출판 연도, 논문 제목, 출처(저널과 쪽수)의 네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의 끝에 마침표를 찍는다(단 저자 부분이 약자로 끝날 때는 마침표를 하나만 찍는다).

2) 책 (Book)

Mehan, H. (1979). Learning lessons: Social organization in the classroom.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Strunk, W., Jr., & White, E. B. (Eds.). (1979). The elements of style. New York: Macmilla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 Washington, DC: Author.

저자 표기법은 저널 논문의 경우와 같다. Jr.은 약자로 간주하여 보기처럼 쓴다. 편자 (Editor/Editors)인 경우는 (Ed.)/(Eds.)로 부기한다. 책 제목은 이탤릭으로 하되, 저널 논문 제목처럼 주 제목과 부제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한다. 같은 출판사가 여러 도시에 있을 때는 첫 번째 도시나 본부가 있는 도시를 적는다. 혼동의 염려가 없고 널리 알려진 도시는 주나 국가의 이름을 생략할 수 있다. 미국의 주 이름의 약자는 중간에 점을 찍지 않고 붙여쓴다. 출판사 이름은 식별에 필요한 최소한의 명칭을 쓰므로 Publishers, Co., Inc. 등은 붙이지 않는다. 저자와 출판 기관이 같은 때는 출판 기관의 이름 대신에 Author라고 쓴다.

3) 편집된 책에 실린 논문이나 장 (An article or chapter in an edited book)

Hunt, R. (1994). Speech genres, writing genres, school genres, and computer genres. In A. Freedman & P. Medway (Eds.), Learning and teaching genre (pp.243-262). Portsmouth, NH: Boynton/Cook.

논문의 필자, 연도, 논문 제목, 책 제목 들은 저널이나 책에서와 같다. 편자(Editors)의 성명은 저자의 경우와는 달리 모두 이름의 약자를 먼저 쓰고 성을 뒤에 쓴다. (Eds.) 다음에 쉼표를 하고, 논문의 쪽수는 책 제목 바로 뒤 괄호 안에, 보통체로 pp. 다음에 쓴다.

4) 잡지나 신문 기사 (Magazine or newspaper article)

Gardner, H. (1981, December). Do babies sing a universal song? Psychology Today, pp. 70-76.

잡지 기사는 저널 기사와 달리, 출간 달까지 표기하고, 쪽수 앞에 pp.를 붙인다. Lubin, J. S. (1980, December 5). On idle: The unemployed shun much mundane work. The Wall Street Journal, pp. 1, 25. 신문 기사는 날짜까지 표기한다. 기사가 비연속적으로 분리된 경우, 해당 쪽수를 쉼표로 분리 표기한다.

5) 연구 보고서 (Report)

Newport, E, L, (1975), Motherese: The speech of mothers to young children (Tech. Rep. No. 53). San Diego: University of California, Center for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대학 연구소의 보고서일 경우, 대학 이름을 연구소 이름보다 먼저 쓴다. 대학명에 주 이름이 있으면, 도시 이름 다음에 오는 주의 약자를 생략한다.

Gottfredson, L. S. (1980). How valid are the reinforcement pattern scores? (Report No. CSOS-R-292).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Center for

Social Organization of School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182 465) 연구보고서를 ERIC에서 복사, 입수한 경우 ED 번호를 명기한다.

6) 학회 발표 논문 (Proceedings of meetings and symposia)

Wells, C. G. (1984). Lexio-grammatical features of child language. In B. Meyer (Ed.),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Child Language (pp.83-92).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Mitchell Press. (발표 논문집이 출간된 경우 이탤릭체로 하고, 학술대회 이름은 고유명사이므로 대문자로 한다.)

Michaels, J. (1989, June).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learning strategies revisited. Paper presented at the 1989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Pusan, Korea. (출간되지 않은 학회 발표 논문)

7) 학위 논문 (Doctoral dissertations and master’s theses)

학위 논문이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DAI)에 등록되고, 요약이 실려있는 경우는 제목을 보통체로 쓰고, 미 출간인 경우는 책처럼 취급하여 제목을 이탤릭체로 한다. (미국에서 통과된 대부분의 박사 논문은 DAI에 등록되어 있는데, DAI의 등록 번호를 모르는 경우는 미출간 학위 논문처럼 표기할 것을 제안한다.)

Pendar, J. E. (1982). Undergraduate psychology majors: Factors influencing decision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2, 4370A-4371A. (University Microfilms No. 82-06, 181)

논문의 요약과 등록 번호가 DAI에 나와 있고, 논문 자체는 University Microfilms에서 사본을 구한 경우 두 가지 번호를 모두 표기한다.

Foster, M. E. (1982).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and directed teaching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1981).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2, 4409A. 논문의 요약과 등록 번호가 DAI에 나와 있으나, 논문 자체는 대학에서 구한 경우. 이때 논문 통과 연도와 DAI 등재 연도가 다르면, 본문에서는 Foster (1981/1982), (Foster, 1981/1982)와 같이 표기한다.

Kevins, G. M. (1981). An analysis of ESL learners’ discourse patter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cGill University, Montreal.

미출간 박사 학위 논문은 제목을 이탤릭체로 한다.

Ryeson, J. f. (1983). Effective management training: Two models. Unpublished maser’s thesis. Clarkson College of Technology. Potsdam, NY.

미출간 석사 학위 논문의 제목도 이탤릭체로 한다.

8) 인터넷 자료 (Internet resources)

인쇄 매체로 출판되었으나 인터넷을 통해 얻은 자료인 경우는 저널 논문, 책, 연구 보고서 등의 양식을 따른 후 맨 끝에 인터넷 사이트를 괄호 안에 제시한다. 단 인용한 날짜를 밝히며, 출판된 자료가 아닌 경우는 자료 제목을 이탤릭체로 한다.Feenberg, A. (1999a). Distance learning: Promise or threat? Retrieved January

6, 2000,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ww-rohan. sdsu. edu/ faculty/feenberg/ TELE3.HTML. (미출간 자료인 경우) Feenberg, A. (1999b, September/October). No frills in the virtual classroom. Academie, 85(5). Retrieved February 20, 2001,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ww.aaup.org/SO99Feen. html. (출판된 자료인 경우) 3. 표(Table) 및 그림 (Figure) 형식과 제목 달기 표/그림 번호와 제목은 표/그림 윗쪽 중앙에 위치한다. 표/그림 번호만 진한 글자로 한다. 영문은 TABLE 3, FIGURE 5 등은 모두 대문자, 나머지 제목은 표/그림 번호 아래에 중요 단어를 대문자로 시작한다. 한글은 표 3, 그림 5처럼 쓴다. 번호는 아라비아숫자로 한다. 본문 속에서 언급할 때는 “as shown in Table/Figure 3.” 혹은 “표/그림 5에서 보듯이”처럼 쓴다.

표 3

미용전공 학생의 영어 요구 조사

그림 5

미용전공 학생의 응답 유형 분포도


제10장 영문 논문 작성 요령
(INFORMATION FOR CONTRIBUTORS OF ENGLISH MANUSCRIPTS)

1. Content of the Manuscripts The content of the manuscript to be submitted should concern theories and/or practices in the field of learning and teaching English. The manuscript may be on an experimental analysis, a new proposal, or a critique of theories and/or practices in the field. The manuscript may also deal with linguistics, or interdisciplinary areas related to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Manuscripts are accepted for review with the understanding that the same work has not been submitted elsewhere, or previously published.

2. Submission for Manuscripts

1) The manuscript prepared in English using MS Word (2003) should be submitted via e-mail to the editor-in-chief.

2) On the last page of the manuscript, the author should provide the author’s (or authors’) name(s), affiliation, address, home/office phone number(s), fax number(s), e-mail address, and cell phone number(s).

3) The author(s) should inform the editor-in-charge which issue (summer or winter) the article is being submitted for when she/he sends the manuscript.

4) After the author pays the reviewing fee, the author should inform the treasurer by e-mail.

5)The deadline for submission is March 30 for the summer issue and September 30 for the winter issue.

3. Specifications for Manuscripts

1) The length of the manuscript, which should be typed on B5-size paper, is recommended not to exceed 20 pages of the journal, 「ESP Review」 ₩10,000 will be charged for each extra page.

2) The left and right margins should be 2.0 cm; the top margins 2.4, and bottom margins 2.0 cm; the top header, 1.2 cm and the bottom header, 0 cm. The line spacing of the title, the main text and the reference list should be fixed 14.5 point, while that of the abstract should be fixed 12.5 point, and footnotes should be fixed 10 point. The main text should be Times New Roman 10-point and the letter spacing should be 100% in 0.1 -point narrow spacing.

3) The abstract should be composed of approximately 200 words.

4) The title of the article should not exceed two lines.

5) The subheadings should be numbered in the following manner: I. 1. 1) (1) ①

6) There should be a line space after every subheading except the fourth and the fifth subheadings.

7) No subheadings should be indented.

8) The main text should be indented 1point (2 characters) at the beginning of each paragraph.

9) Examples of English words and sentences should be italicized.

10)As for tables and figures, avoid using vertical lines and limit the use of horizontal lines. Use a double line for the first horizontal line and use plain single lines for the rest. The numberings and headings of tables or figures should be presented bold, centered above the tables or figures. ‘TABLE,’ ‘FIGURE’ should be all capitalized. Major words in the headings of tables or figures should begin with capital letters. Do not use < > in headings or texts.

11) The references, graphs, illustrations, etc should follow the 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tyle.

12) Detailed specifications for a sample manuscript are as follows. 

 5.png
6.png7.png
 

4. Other Important Regulations

1) All the manuscripts submitted will undergo a strict editorial process through the blind review system. They will be rated by reviewers as ‘publish without revision’, ‘publish with revisions’, ‘revise and submit for reevaluation’, or ‘reject.’ The writer will be informed of whether the article will be published or not about a month after the deadline for submission.

2) Publication of more than two articles by the same writer per year is not allowed in principle.

3) The publication expenses will be paid by the individual writers.

5. Style Guidelines All submissions to ESP Review should conform to the requirements of the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th ed.). The followings are some important examples taken from the manual.

1) Text Citation

(1) One Work by a Single Author: APA journals use the author-date method of citation. The last name of the author and the year of publication are inserted in the text at the appropriate point. In case of a Korean author’s name, the full name is written: the first name is written before the last name (e.g., Han-Kuk, Kim) for a title; the last name is followed by a comma and first name (e.g., Kim, Han-Kuk) for an abstract. He stated, “the ‘placebo effect’ disappeared ... when behaviors were studied in his manner” (Smith, 1982, p. 276). Smith (1982) found that “the ‘placebo effect’ disappeared when [his own and other’s] behaviors were studied in this manner” (p. 276).

(2) One Work by Two Authors: When a work has two authors, always cite both ames every time the reference occurs in the text. Gardner and Lambert (1976) found that their previous study (Gardner & Lambert, 1972) could not...

(3) One Work by More Than Two Authors and Fewer Than Six Authors: Cite all authors the first time the reference occurs; in subsequent citations include only the surname of the first author followed by “et al.” and the year. First citation: William, Jones, Smith, Bradner, and Tomington (1993) found that... Second citation: William et al. (1983) studied the effect of...

(4) One Work by More Than Six Authors: Cite only the surname of the first author followed by “et al.” and the year in the first and subsequent citations. However, in the reference list, the surnames of all six or more authors should be spelled out.

(5) Two or More Works Within the Same Parentheses: Arrange two or more works by the same author by year of publication, and list two or more works by different authors in alphabetical order by the first author’s surname. Separate the citations by semicolons. Oxford (1986, 1989, 1994) reports that many studies (Gosden, 1992; Hanania & Akhtar, 1985; Hopkins, 1987, 1988a, 1989; Tarone et al., 1981) used strategy training...

(6) Authors with the Same Surname: If a reference list includes publications by two or more authors with the same surname, include the authors’ initials in all text citations to avoid confusion, even if the year of publication differs. H. D. Brown (1993) and J. D. Brown (1994) agreed that...

2) Reference ListAll sources cited in the text must be included alphabetically in the reference list. Below are examples of entries for, respectively, a journal article, a book, an article or chapter in an edited book, a magazine or newspaper article, a report, proceedings of meetings and symposia, a doctoral dissertation or master’s thesis, and a citation from Internet resources.

(1) A Journal Article

Pavio, A. (1975). Perceptual comparisons through the mind’s eye. Memory & Cognition, 3,635-647. Davis, J. N., Lange, D. L, & Samuels, S. J. (1988). Effects of text structure instruction: An experimental study on foreign language readers. Journal of Reading Behavior, 20(2), 19-34.

(2) A Book

Mehan, H. (1979). Learning lessons: Social organization in the classroom.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Strunk, W., Jr., & White, E. B. (Eds.). (1979). The elements of style. New York: Macmilla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 Washington, DC: Author.

(3) An Article or Chapter in an Edited Book

Hunt, R. (1994). Speech genres, writing genres, school genres, and computer genres. In A. freedman & P. Medway (Eds.), Learning and teaching genre (pp.243-262). Portsmouth, NH: Boynton/Cook.

(4) A Magazine or Newspaper Article

Gardner, H. (1981, December). Do babies sing a universal song? Psychology Today, pp. 70-76. Lubin, J. S. (1980, December 5). On idle: The unemployed shun much mundane work. The Wall Street Journal, pp. 1-25.

(5) A Report

Newport, E. L. (1975). Motherese: The speech of mothers to young children (Tech. Rep. No. 53). San Diego: University of California, Center for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Gottfredson, L. S. (1980). How valid are the reinforcement pattern scores? (Report No. CSOS-R-292).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Center for Social Organization of School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182 465)

(6) Proceedings of Meetings Symposia

Wells, C. G. (1984). Lexical-grammatical features of child language. In B. Meyer (Ed.),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Child Language (pp. 83-92).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Mitchell Press. Michaels, J. (1989, June).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learning strategies revisited. Paper Presented at the 1989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Pusan, Korea.

(7) A Doctoral Dissertation or Master’s Thesis

Pendar, J. E. (1982). Undergraduate psychology majors: Factors influencing decision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2, 4370A-4371A. (University Microfilms No. 82-06, 181) Foster, M. E. (1982).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and directed teaching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1981). Dissertation Abstract International, 42, 4409A. Kevins, G. M. (1981). An analysis of ESL learner’s discourse patter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ration. McGill University, Montreal.

(8) Internet Resources

Feenberg, A. (1999a). Distance learning: Promise or threat? Retrieved January 6, 2000,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ww rohan.sdsu.edu/faculty/feenberg/TELE3.HTML. Feenberg, A. (1999b, September/October). No drills in the virtual classroom. Academie, 85(5). Retrieved February 20, 2001,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ww.aaup.org/SO99Feen.html.

3) Tables and Figures

Tables and figures should be completely understandable, independent of the text. Each table and figure must be mentioned in the text, given a title (placed in the center above the table or the figure), and consecutively numbered with Arabic numerals.

TABLE 3

Subjects’ Age Groups and Their Scores

FIGURE 3

Model of Second Language Learning


 발행규정

해당 없음 (상기 “한국ESP학회 논문심사규정”으로 통합하여 운영 중)